728x90
1. 금융기관 신용평가
- 은행이나 보증기관은 법인의 재무 건전성을 보기 위해 평잔을 확인해.
- 예: “이 회사 통장에 항상 어느 정도 돈이 유지되고 있네? 유동성도 좋고 돈 관리도 잘하네.” → 대출 승인이나 보증 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줌.
2. 세무서나 공공입찰에서 실적 증빙
- 세금 신고 시나 공공기관 입찰 시, 평잔은 자금 운용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됨.
- 실제 입찰에서는 “최근 6개월간 법인계좌 평잔 1억 이상” 같은 기준이 명시되기도 해.
3. 자금 흐름 안정성 판단
- 건설업은 프로젝트 수주 후에 큰 자금이 들어오고 나가는 구조라서, 잔액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지가 신뢰 지표야.
- 꾸준히 일정 금액을 유지하면, “한탕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구나”라고 평가받음.
건설업 평잔(평균 잔액) 계산법은 주로 신용평가, 금융거래, 또는 세무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아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.
1. 월평균 잔액(평잔) 계산법
공식:
월평균 잔액=∑(일일 잔액)해당 월의 일수\text{월평균 잔액} = \frac{\sum (\text{일일 잔액})}{\text{해당 월의 일수}}
즉, 해당 월의 매일매일 잔액을 모두 더한 후, 그 달의 일수(28, 30, 31일)로 나누면 월평균 잔액이 나옵니다.
2. 연평균 잔액(연평잔) 계산법
공식:
연평균 잔액=∑(월평균 잔액)12\text{연평균 잔액} = \frac{\sum (\text{월평균 잔액})}{12}
각 월의 월평균 잔액을 구한 뒤, 이를 12개월로 나눠주면 연평균 잔액이 됩니다.
건설업 신용평가에서의 적용
건설업체의 경우 신용평가 및 금융기관 대출 심사 시, **법인 계좌의 평잔(특히 3개월, 6개월, 1년 단위)**을 중요하게 봅니다. 보통 법인 계좌에서 자금이 꾸준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실제 예시
- 1월 1일~1월 10일: 매일 잔액이 1억 원
- 1월 11일~1월 31일: 매일 잔액이 2억 원
👉 1월 월평균 잔액
(1억×10일)+(2억×21일)31=1.677억원\frac{(1억 \times 10일) + (2억 \times 21일)}{31} = 1.677억 원
이렇게 각 월별로 계산하여 연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.
728x90
'세무신고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금영수증 가맹점신청과 홈텍스에서 현금영수증 발급해보기 (3) | 2025.04.14 |
---|---|
면세사업장 사업장등록 요건 ( 사업장은 집으로, 교육용역으로서 면세등록 직접해보기) (6) | 2025.04.10 |
개인사업자 내고 홈택스에 등록할 주요 사항 7가지 (0) | 2025.04.07 |
2024 연말정산시 몰아주기 제한사항 체크해보기 (1) | 2025.02.03 |
종합소득세 절감 포인트 5가지 (0) | 2025.02.03 |
댓글